![]() |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 농촌진흥청(청장 권재한),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사장 홍문표) 등이 함께한 이번 행사에서 기후변화로 인한 위기를 함께 인식하고 적극 대응하기 위한 논의의 장이 펼쳐졌다.
![]() |
공청회는 기후변화에 대응한 농산물의 선제적 수급관리 방안에 대한 발제와 토론으로 진행됐다. 총 4건이 발제됐고 원예작물 신품종의 新생산·소비경로 구축방안(박정관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부장), CA 저장기술 활용 농산물 장기 보관방안(손재용 국립농업과학원 과장), 스마트팜 확산을 통한 농업 혁신방안(이명훈 국립순천대학교 교수), 5곡(쌀·밀·콩·보리·옥수수)중심 식량작물 육성방안(황재현 동국대학교 교수)에 관한 발제가 순차적으로 진행되었다.
![]() |
이어 진행된 지정토론은 분야별 전문가와 정부 측 관계자 6인이 참여했다. ▲기후변화에 대응한 신품종 개발과 육성지원 연계의 필요성(전병대 농어촌미래포럼 회장) ▲농산물 보관의 CA 저장기술 도입사례(허장행 농협경제지주 국장) ▲안정적 식재료 수급을 위한 스마트팜 확산 필요성(이강권 삼성웰스토리 부사장) ▲카길 사례를 통한 식량작물 육성 및 자급률 제고 방안(이보균 순천대학교 석좌교수)으로 이어졌다.
공청회를 주최한 김선교 의원은 “극단적인 기상 이변 등으로 농산물의 불안정한 수급은 생산자뿐만 아니라 먹거리를 소비하는 전 국민에게도 큰 부담이 되는 문제”라면서, “기후변화에 대응한 신품종 육종과 공기차단기술 등 새로운 저장기술을 활용하고, 스마트팜 보급 등 과학기술을 접목한 농업을 확대함으로써 위기를 맞은 농업이 혁신과 성장의 기회로 전환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추선우 기자
추선우